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42 Client-side 렌더링 vs. Server-side 렌더링 ? CSR, SSR Client-side 렌더링 vs. Server-side 렌더링? 웹을 공부하다 보면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CSR)과 서버 사이드 렌더링(SSR)이라는 용어를 만나게 됩니다. 이 용어는 사용자가 브라우저를 통해서 보게 되는 웹문서들을, 서버에서 완성해서 보내주느냐 아니면 사용자의 PC나 모바일 기기에서 완성해서 보여주느냐? 의 차이라고 보면 됩니다. 간단하죠? 이참에 간단하게 정리해 두고 넘어가기로 합니다. 서버 사이드 렌더링(SSR) 대표적이고 전통적인 방식입니다. 서버 사이드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html 파일을 모두 생성한 후 사용자에게 보내주는 방식을 말합니다. 단점으로는 서버가 모든 일을 다 처리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몰리면 서버에 부하가 걸린다는 것이죠. 반면 서버에서 모든 .. 2023. 2. 14. float를 이용한 탭 메뉴 버튼 만들기2 - jQuery, vanilla JS 구현 float를 이용한 탭 메뉴 버튼 만들기2 - jQuery, vanilla JS 구현 이전 포스팅에서 HTML/CSS를 이용해서 탭메뉴 버튼의 UI를 만들어보았습니다. float를 이용한 탭 메뉴 버튼 만들기 - Part 1 float를 이용한 탭 메뉴 버튼 만들기 - Part 1 float를 이용한 탭 메뉴 버튼 만들기 - Part 1 HTML/CSS를 이용해서 Tab Menu 버튼을 만들어 봅시다. 바로 이런 거요. 쇼핑몰 상품설명 상세페이지에서 흔히 볼수 있는 형태입니다. 저의 입장에서라면 사 kincoding.com 그러면 이제 이 메뉴를 동적으로 작동하도록 만들어야겠죠? 그런 역할을 해주는 언어가 바로 Javascript입니다.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하는 코딩은 흥미진진합니다. 생명력을 불어 넣.. 2023. 2. 13. float를 이용한 탭 메뉴 버튼 만들기 - Part 1 float를 이용한 탭 메뉴 버튼 만들기 - Part 1 HTML/CSS를 이용해서 Tab Menu 버튼을 만들어 봅시다. 바로 이런 거요. 쇼핑몰 상품설명 상세페이지에서 흔히 볼수 있는 형태입니다. 저의 입장에서라면 사실 flex를 이용하는 게, 익숙치 않은 float를 사용하는 것보다 훨씬 더 직관적이고 쉬울듯 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다른 사람이 만들어 놓은 결과물을 수정해야 하는 경우도 있으니, 이 참에 먼저 float를 이용하여 만든 탭 메뉴에 익숙해질 수 있도록 포스팅을 통해 정리를 합니다. html 뼈대 구성 뼈대가 되는 html은 다음과 같이 ul, li를 이용해서 메뉴 형식으로 구성했습니다. 하단 각각의 div는 각 탭을 눌렀을 경우에 보여주거나 숨길 설명 내용입니다. 물론.. 2023. 2. 12. 페이지 스크롤 진행률을 표시해보자 - 상단 progress-bar 만들기 페이지 스크롤 진행률을 표시해 보자 - 상단 progress-bar 만들기 이전 2개의 포스팅에서 이벤트 리스너를 달고, scroll을 감지하는 내용을 배우고 정리해 보았습니다. 이런 것들은 배우고 익혀서 대체 어디에 써먹을 수 있을까요? 웹사이트를 서핑하다 보면, 이렇게 페이지 상단에 프로그래스 바를 만들어 두고 본문을 얼마큼 읽었는지 표시해 주는 UI를 만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왠지, 스크롤 전체 높이를 알고, 현재 스크롤한 값을 알 수만 있다면 Javascript로 구현을 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지 않은가요? scroll 이벤트를 배웠으니, 당장 써먹어 보도록 합니다. 세로 높이가 긴 문서 준비 예제로 활용할 HTML 문서는 다음과 같이 만들어봤습니다. VSCode에서 lorem * 500 정도 .. 2023. 2. 11.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3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