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transform2

Hover 버튼을 폼 나게 만들기 (transition + transform 적용) Hover 버튼을 폼 나게 만들기 (transition + transform 적용) 이전 포스팅에서 transition과 transform에 대해서 정리하고 살펴보았습니다. 공부한 건 바로 써먹어 봐야겠죠? 웹 사이트에서 매우 흔하게 볼 수 있는 hover에 반응하는 hover(호버) 버튼을 만들어보려고 합니다. 한국에서는 롤오버 버튼이라고도 많이 불리는 것 같습니다. 실무에서는 대체적으로 hover button 혹은 roll-over button의 경우 적용된 폰트의 색상이나 백그라운드 컬러 정도를 변하게 하는 형태를 주로 사용하게 되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좀 더 과감하게, transition과 transform 속성을 이용하여 만들어보면서 공부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예제코드 아래 예.. 2023. 4. 3.
Transform - rotate(), scale(), translate(), skew() Transform - rotate(), scale(), translate(), skew() 이전 포스팅에서 Transition에 대해서 정리를 했습니다. 트랜지션과 더불어 짝궁처럼 따라 다니는 속성이 바로 Transform이 아닐까 싶습니다. 트랜지션이 '변화'에 대한 영역을 제어한다면, 트랜스폼은 '변형'에 대한 영역을 컨트롤 하게 됩니다. 영화 의 변신하는 모습을 상상해보면 Transform 속성을 공부해보면 보다 이해가 쉬울 것입니다. 예제코드 아래와 같은 코드로 시작해보겠습니다. Transform !! Transform !! Transform !! Transform !! Transform !! Transform !! Transform !! Transform !! 브라우저에서 확인을 해보면 다음과 .. 2023. 3.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