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Transition3 Hover 버튼을 폼 나게 만들기 (transition + transform 적용) Hover 버튼을 폼 나게 만들기 (transition + transform 적용) 이전 포스팅에서 transition과 transform에 대해서 정리하고 살펴보았습니다. 공부한 건 바로 써먹어 봐야겠죠? 웹 사이트에서 매우 흔하게 볼 수 있는 hover에 반응하는 hover(호버) 버튼을 만들어보려고 합니다. 한국에서는 롤오버 버튼이라고도 많이 불리는 것 같습니다. 실무에서는 대체적으로 hover button 혹은 roll-over button의 경우 적용된 폰트의 색상이나 백그라운드 컬러 정도를 변하게 하는 형태를 주로 사용하게 되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좀 더 과감하게, transition과 transform 속성을 이용하여 만들어보면서 공부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예제코드 아래 예.. 2023. 4. 3. Interactive의 시작, transition 속성 2/2 - timing function Interactive의 시작, transition 속성 2/2 - timing function 지난 포스팅에서는 transition 속성의 기본적인 내용에 대해서 정리를 하고 예제 코드들을 살펴보았습니다. 이전 과정에 대해 이해가 잘 되었다면, 이번 포스팅에서 다룰 내용들을 이해함에 있어 크게 어려운 점은 없을 것이라고 예상이 됩니다. transition을 좀 더 세세한 방식으로 컨트롤 할 수 있는, timing function에 대해서 함께 살펴보도록 합시다. 예제코드 Transitions 브라우저를 실행해보고 마우스를 section에 올려 봅니다. div 박스들이 margin-left: 500px까지 부드럽게 이동해서 멈추는 동작을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transition: timing-funct.. 2023. 3. 24. Interactive의 시작, transition 속성 1/2 - duration, delay Interactive의 시작, transition 속성 1/2 - duration, delay html을 이용해서는 주로 문서의 레이아웃을 구성한다고 이전 포스팅에서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레이아웃은 주로 static한 형태로서의 웹문서의 구성과 배치를 의미하게 되는데요, 보다 생동감 있은 interactive한 움직임을 표현하려면 반드시 transition 속성이 필요하게 됩니다. transition 속성을 부여하면 html 문서에서는 마치 마법 같은 일이 벌어지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좋아합니다. 저 또한 역시 그렇습니다. transition을 자유자재로 다룬다는 것은 아주 흥미로운 일이 되기 때문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다채로운 transition의 기본적인 내용들을 함께 살펴보면서, transit.. 2023. 3. 2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