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ternet

Google - Gmail SMTP 사용을 위한 세팅 : 2025년 버전

by 즐코딩 2025. 5. 8.
반응형

Google - Gmail SMTP 사용을 위한 세팅 : 2025년 버전

 

SMTP를 빌려 사용하려면, 역시나 갓구글의 G메일이 가장 효율이 좋은 것 같습니다. 다만 불편한 것은 불친절한 사용 설명들이죠.

지난 2023년 즈음에도 Gmail의 SMTP를 세팅하여 사용하는 포스팅을 기록해둔 것이 있었습니다.

 

저도 자꾸만 까먹는 설정들이라 필요할 때 마다 보고 작업하느라 메모를 해두었던 것입니다.

 

Google - Gmail SMTP 사용을 위한 세팅

 

Google - Gmail SMTP 사용을 위한 세팅

Google - Gmail SMTP 사용을 위한 세팅 G메일에서 제공하는 SMTP를 사용하여 메일발송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보통 자체 서버를 운용하는 게 아니라, 웹호스팅 등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라면 SMTP

kincoding.com

 

그런데 최근 2025년 01월부터 UI나 설정값들이 달라진 점들이 몇 개 존재하더군요.

그래서 이 참에 다시 한번 업데이트 하여 정리를 해두기로 합니다. 아주 크게 달라지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1. gmail 계정 생성.

 

당연히 메일 발송용으로 사용할 G메일 계정을 하나 생성을 해야겠죠? 해줍니다.

제가 갤럭시 S21을 사용중이라, 첫 메일이 저렇게 온 것 같습니다.

 

 

2. 설정 버튼(톱니바퀴) 클릭 후 모든 설정 보기

 

자, 모든 설정의 시작은 저 톱니바퀴 아이콘에서 시작합니다. 꾹 눌러주시고, [모든 설정 보기] 버튼을 클릭해줍니다.

 

 

3. 전달 및 POP/IMAP 메뉴 > IMAP 엑세스 → 자동 삭제 사용 [변경사항 저장] 버튼 클릭.

 

아래 그림의 표시를 참고하여, 해당 메뉴를 클릭해줍니다. 그리고 자동 삭제 사용 - 서버 즉시 업데이트(기본값) 선택 에 체크!

 

 

4. 프로필 아이콘 클릭 → [Google 계정 관리] 버튼 클릭

 

구글의 SMTP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메일계정이 2단계 인증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 아마도 스팸메일 등을 이유로 사용자에 대한 신원확인을 하는 과정이 아닐까 싶습니다.

 

 

5. 왼쪽 메뉴에서 "보안" 클릭. Google에 로그인하는 방법 > 2단계 인증 진행하기

 

아래 이미지를 참고하여, 보안 메뉴에서 2단계 인증을 진행합니다.

 

 

6. 2단계 인증 > 전화번호 추가

 

전화번호 추가 버튼을 클릭해줍니다.

 

 

7. 2단계 인증을 위한 전화번호 추가

 

그리고 2단계 인증을 위한 전화번호를 추가해주고,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8. 이 전화번호 인증

 

구글에서 SMS로 발송해주는 인증코드를 확인 후 기입해주고, [인증] 버튼을 클릭해줍니다.

 

 

9. 2단계 인증 보호조치 완료

 

이로써 해당 이메일 계정에 대한 2단계 인증이 완료되었습니다. [완료] 버튼을 클릭해줍니다.

 

 

10. 다시, 왼쪽 메뉴 '보안'에서 검색창에 '앱 비밀번호' 검색 후 검색결과에서 선택. 클릭!

 

구글의 SMTP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코드를 작성할 때 '앱 비밀번호'를 함께 넣어줘야 합니다. API Key를 넣어주는 경우와 비슷하다고 이해하면 될 듯합니다.

 

이전까지는 앱 비밀번호를 메뉴를 통해서 쉽게 접근이 되었던 것 같은데, 이번에 바뀐 UI에서는 한번에 못찾았습니다. 그래서 그냥 검색창에 '앱 비밀번호'를 키워드로 넣고 검색을 진행해서 접근했습니다.

 

 

11. 원하는 이름으로 앱 이름을 기입 후 [만들기] 버튼 클릭

 

앱 이름은 마음대로 만들어주면 됩니다. 저는 메일 발송에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mail-sender라고 작명을 해보았습니다. 이후 [만들기] 버튼을 클릭해줍니다.

 

 

12. 생성된 앱 비밀 번호는 잘 메모해둡니다.

 

그러면 해당 앱과 연동되는 앱 비밀번호가 만들어집니다. 잘 메모해두었다가, 추후 코딩을 진행할 때 활용하도록 합니다.

 

 

한편, 이렇게 외부에서 호출해서 사용할 수 있는 앱은 여러 개를 만들 수 있습니다. 저는 mail-sender라는 이름의 앱을 하나 만들었습니다. 물론 구글 SMTP를 통해서 발송할 수 있는 이메일의 수량은 어느 정도 한도가 정해져 있다고 합니다.(아직 한도에 부딪혀본 적은 없어서, 크게 관심을 갖고 있지는 않습니다. 혹시 정확한 한도를 아시는 분은 댓글 부탁드려요)

 

 

이상의 작업으로 구글의 Gmail SMTP를 사용하기 위한 기본적인 세팅 과정이 완료되었습니다.

실제로 메일을 보내기 위해서는 코딩 작업을 진행해야 합니다. 이 과정은 추후에 실무를 진행하게 될 때 한번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AI에 질문을 해도 기본적인 템플릿 코드는 확인가능할 것이라 생각됩니다.

 

예를 들어, php 환경에서 G메일을 이용해서 메일을 발송하는 코드 예시를 알려줘. 라던가, python 환경에서 라던가~ 본인이 활용하고 있는 언어 환경으로 질문을 하면 대략 확인이 가능합니다..

 

 

마치며

 

2025년 01월 이전까지는 아래의 내용으로 메모를 해두고 숙지하고 있었습니다.

 

G메일 SMTP를 이용해서 메일 발송을 테스트해보면, 등록한 G메일 계정으로 [활동 확인] 보안 메일이 날라옴.

그때 마다 [활동확인]을 해줘서, 구글 서버에서 아~ 등록한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것이구나! 라고 인식을 시켜줘야 합니다.

혹시라도 보안인증이 안되면, 부정 사용으로 간주되어 메일 발송 기능이 막혀버릴 수 있다고 합니다.

 

↑ 그런데, 현 시점인 2025. 04월에는 활동확인 메일이 안 날라오는 것도 같습니다.

정책이 바뀌었을 수 있겠으니, 아무튼 내용만 참고해두세요.

 

반응형

댓글